|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연기와AI윤리
- 음성AI연기
- 립싱크AI
- 연기AI
- ai캐릭터
- 연기자훈련도구
- AI보이스감정구현
- 립싱크연기분석
- 감정데이터화
- 디지털연기비교
- ai감정연기
- 배우권리
- AI연기윤리
- 감정전달메커니즘
- AI연기자한계
- AI감정연기분석
- AI눈물표현
- 감정윤리
- 감정표현AI
- 사람배우연기방식
- 감정몰입도
- 감정시뮬레이션
- ai연기
- 연기자훈련
- 연기창작도구
- 감정연기비교
- AI연기교육
- 프롬프트작성법
- 몰입도차이
- AI연기기술
- Today
- Total
목록배우 이야기 (2)
연기 연구소
프로필에는 정답이 없다필자가 매체 연기 아카데미에서 일할 때는 보통 상담을 시강의 형태로 진행했었다. 덕분에 상담 중에는 여러 가지를 함께 확인, 점검하며 시도해 볼 수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배우 프로필이었다.프로필은 배우에게 곧 명함이자 자소서, 이력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프로필 상담은 어찌 보면 취업 시장에서의 자소서 첨삭과도 같은 작업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필자에게 어떤 대단한 자격이 있어 첨삭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대중적 시선과 배우로서 배우를 아끼는 마음, 그리고 스텝으로의 경험과, 배우로서 해온 멘땅에 헤딩들이 쌓여 아주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기준을 가지게 된 것일 뿐! 명함이나 자소서에 정답이 없듯, 프로필에 정답은 없다. 그러니 앞으로 이야기할 모든 ..
연영과 졸업자들이 다시 연기 학원을 찾는 이유필자가 매체 쪽 연기 아카데미에서 일하면서 다소 의문이 들었던 부분이 있다. 당시 한 클래스에 보통 8명이 정원이었는데, 연영과 출신의, 그러니까 연기 전공자 친구들이 못해도 1/3 정도였던 것이다.수업이 너무나 명강의라고 치고(?) 학생들의 소개의 소개로 발생한 현상이라고 하더라도어쨌든 그 수가 클래스 정원의 절반을 넘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 등록 전 상담을 진행할 때도 이러한 현상은 비슷했다.더욱이 상담을 신청한 친구들 중에는 연기 명문대라고 불리는 학교 출신도 더러 있었기 때문에처음에는 잉? 당혹감을 그대로 내비치곤 했으니 말이다. 입시를 준비하고 연영과에 합격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이미 10대 때부터 연기를 했다는 것인데대학교를 졸업한 혹은 졸업을 앞..